반응형 슬기로운 생활 리뷰192 테슬라 청주 강서(서청주) 슈퍼차저 후기 테슬라 청주 강서(서청주) 슈퍼차저 후기 청주에 2번째 슈퍼차저가 생겼습니다. 첫번째 슈퍼차저가 율량 이안이라 두번째는 서청주 쪽으로 생기지 않을까 예상했는데 강서 아이파크와 자이 아파트 근처에 생겼습니다. 며칠 전부터 새로 생긴 서청주 슈퍼차저가 네비에도 검색이 되서 한 번 다녀왔습니다. 우선 위치는 이곳입니다. 청주 가경 아이파크 아파트와 가경 자이 아파트 근처에 본궁석갈비가 있습니다. 그 쪽으로 쭉 들어오시면 식당 건물들이 있는데 그 안에 대형주차장이 있는 상가건물이 있습니다. 서청주 슈퍼차저에 설치된 테슬라 충전기는 V3로 모두 12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굉장히 여유있게 충전을 할 수 있습니다. 슈퍼차저만 설치되어 있고 데스티네이션은 없습니다. 테슬라 슈퍼차저의 충전 방식은 매우 간단합니다. 충.. 슬기로운 생활 리뷰/테슬라이프 2023. 12. 4. 더보기 ›› 소니a6700으로 촬영한 장항스카이워크 & 신성리갈대밭 가을여행 소니a6700으로 촬영한 장항스카이워크 & 신성리갈대밭 가을여행 충남 서천으로 가을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서천은 국립생태원이 있는 곳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장항스카이워크와 신성리갈대밭을 다녀왔습니다. 장항스카이워크는 이렇게 탁 트인 바다를 볼 수 있는 높은 전망대가 인상적인 곳입니다. 중간중간 아래가 살짝 보이는 아찔함도 잠깐 맛볼 수 있습니다. 숲과 바다가 함께 어울려 걷기에 좋은 풍경입니다. 바다 바람을 받고 소나무가 자라는 전형적인 해안림이기도 합니다. 이곳은 역사적으로도 매우 의미가 있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바로 신라통일의 마지막 관문이었던 나당전쟁의 최후의 결전이 벌어졌던 기벌포전투의 무대가 바로 여기 장항이었던 것이죠. 탁 트여 있는 바다를 배경으로 그 때 당시 치열했던 전투를 생각하니 좀.. 슬기로운 생활 리뷰/일상을 카메라로 기록하다 2023. 11. 13. 더보기 ›› 소니 a6700으로 담아본 청주 야경 (수암골 전망대) 소니 a6700으로 담아본 청주 야경 (수암골 전망대) 저녁쯤 잠깐 남는 시간대가 생겼습니다. 카페에 가서 차라도 마시며 시간을 보낼까 하다가 차라리 야경을 찍으러 가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인스타에서 청주야경으로 해시태그를 검색해보니 몇몇 장소들이 나옵니다. 것대산 활공장과 수암골 전망대가 나옵니다. 수암골 전망대가 좀 더 접근하기가 좋은듯 하여 목적지로 잡고 출발했습니다. 수암골 전망대를 가는 방법 중에 도청 지나서 자연과학교육원과 진로교육원 사이에 있는 길을 이용해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암골 경사가 있는 편이라 저는 그 길을 가는 것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그 길을 타고 쭉 올라가다가 수암골 전망대가 나타납니다. 주차장은 전망대에서 아래로 꺾는 곳에 위치해 있어서 주차하고 전망대로 조금 걸어서 올.. 슬기로운 생활 리뷰/일상을 카메라로 기록하다 2023. 11. 5. 더보기 ›› 소니 a6700으로 담은 대전엑스포 야경 소니 a6700으로 담은 대전엑스포 야경 사진 93년 대전엑스포를 기억하는 나이입니다. 어렸을 때는 대전이란 곳이 어디 있는지 몰랐습니다. 꿈돌이 캐릭터와 정말 많았던 사람들의 모습을 TV를 통해 보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대전엑스포 30주년이라고 합니다. 대전엑스포공원은 예전 대전엑스포가 열렸던 장소를 기념하고 지금은 시민 누구나가 찾아오는 대전의 명소가 되었습니다. 한빛탑을 중심으로 앞에는 엑스포다리와 한밭수목원이 이어져 있습니다. 바로 옆에는 대전신세계백화점과 국립대전과학관이 이어져 있는 대전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이곳은 밤이 되면 그 진가가 드러납니다. 바로 대전의 야경 명소입니다. 대전엑스포다리에서 대전의 야경을 소니 a6700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슬기로운 생활 리뷰/일상을 카메라로 기록하다 2023. 10. 23. 더보기 ›› 소니 a6700으로 담은 불국사 자하문 그리고 백운교와 청운교 소니 a6700으로 담은 불국사 자하문 그리고 백운교와 청운교 불국사에서 백운교와 청운교는 워낙 많이 알려진 구도로 알려져있다. 실제로 불국사를 방문했을 때도 백운교와 청운교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려는 사람들이 많았다. 백운교와 청운교는 이런 의미가 있다고 한다. 청운교와 백운교는 인간의 세계와 부처의 세계를 이어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청운교는 푸른 청년의 모습으로 상징되며, 백운교는 흰머리 노인의 모습으로 인생을 상징한다. 이런 의미를 담아 계단을 다리 형식으로 정교하게 다듬어 만들었다. 이 다리를 넘어서면 부처가 있는 세계로 들어가기 직전에 문을 만나는데 그 문이 바로 사진에서 보는 자하문이다. 문화재 보호를 위해서 현재는 직접 다리를 통해 자하문으로 갈 수 없다. 그 옆에 산 길을 통해.. 슬기로운 생활 리뷰/일상을 카메라로 기록하다 2023. 10. 19.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5 6 7 8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