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205

프로젝트 기반 학습 (PBL)의 핵심 특징과 단계별 진행 과정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 Based Learning, PBL)은 학생들이 실제적인 문제나 과제를 해결하면서 학습하는 교수-학습 방법입니다. 오늘은 PBL의 특징과 효과적인 운영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PBL의 핵심 특징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가장 큰 특징은 실제성(Authenticity)입니다. 학생들은 실생활과 연계된 문제를 다루면서 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직접 체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참여가 이루어지며, 협동학습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팀워크를 기를 수 있습니다.2. PBL의 단계별 진행 과정① 프로젝트 준비 단계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의 성공은 철저한 준비에서 시작됩니다. 준비 단계는 프로젝트의 방향을 설정하고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미래교육과 에듀테크 2024. 10. 31.
제1회 충북교육박람회 후기 2024년 10월 28-29일에, 충북교육박람회가 청주대 석우문화체육관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었습니다 . 교사로 근무하다가 교육전문직으로 자리를 옮긴 후 대규모로 열리는 행사에 참가하는터라, 이번 박람회는 제게도 남다른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첫째로, 충북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각 부서와 기관에서 준비한 부스들은 우리 교육청이 추진하고 있는 정책과 사업들을 입체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평소 문서로만 접하던 내용들이 생생하게 구현되어 있어, 장학사로서도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특히 둘째 날 오후에 제가 담당했던 부스에서는 뜻깊은 만남들이 있었습니다. 현장에서 열심히 근무하시는 선생님들, 관심 있게 찾아와 주신 학부모님들과 직접 소통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죠. 준비했던..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2024. 10. 30.
[아이디어] 초등교육에서 학생주도성,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이란 무엇일까요? 학생주도성이란 학생이 자신의 학습 과정에서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책임감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하며, 자신의 학습을 이끌어가는 능력을 말합니다. OECD Education 2030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이 역량은 미래 사회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매우 중요한 핵심역량이 되었습니다.그렇다면 학교 현장에서 학생 주도성을 어떻게 키워줄 수 있을까?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9가지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합니다. 1. 자기 목표 설정 및 관리- 학습 다이어리 활용: 매일 10분씩 그 날의 학습 목표를 적고, 달성 여부를 스스로 체크합니다. 특히 '오늘의 배움'과 '내일의 도전'을 구분하여 작성하도록 하면 연속성 있는 학습 관리가 가능합니다.- 성..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교육전문직 장학사 2024. 10. 29.
애플 실리콘 맥북에서 K에듀파인 사용하기: 성공 후기 및 상세 가이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애플 실리콘 칩이 탑재된 맥북에서 교육행정정보시스템(K에듀파인)을 성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공유해드리고자 합니다. 특히 M3 맥북 에어 사용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많은 교직원분들이 겪으시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기본 환경 구성먼저 K에듀파인 사용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 설정이 필요합니다:- 패럴렐즈(Parallels)를 통한 윈도우 설치- GPKI 인증서 준비상세 설치 가이드 1. GPKI 인증서 설정- 윈도우 C 드라이브에 'GPKI' 폴더 생성- 기존 인증서 파일을 해당 폴더로 복사- 인증서 경로 확인 필수 (C:\GPKI\Certificate\class2) 에 인증서 파일 4개 복사해놓기2. EVPN 접속 및 초기 설정- 소속 시도교육청의 EVPN..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IT테크리뷰 2024. 10. 25.
등교길? 등굣길? 하교길? 하굣길? 우리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단어 중에는 표기법이 헷갈리는 것들이 참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등굣길”과 “하굣길” 같은 단어는 자주 쓰지만, 정확한 맞춤법이 무엇인지 확실히 모르는 경우가 많죠. 이 포스팅에서는 이 두 단어의 정확한 맞춤법과 관련된 규정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등교길 vs. 등굣길, 하교길 vs. 하굣길, 어떤 것이 맞을까? 우선 결론부터 말하자면 "등굣길"과 “하굣길”이 맞는 표현입니다. 등교길이나 하교길이라고 쓰는 것이 맞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정확한 맞춤법은 등굣길과 하굣길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 부분은 우리가 흔히 사이시옷이라 부르는 규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맞춤법 규정, 무엇을 기준으로 할까? 우리나라의 맞춤법은 일정한 규정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중 한글 ..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공문맞춤법 2024.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