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수업혁신91 제7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원서접수 성공 새해가 되어 한국사능력 검정시험을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줄여서 한능검이라고 합니다. 마침 제73회 한능검 원서접수일이 다가와 며칠 전부터 마음의 준비를 했습니다. 한능검 시험 원서접수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하기 때문에 사전에 회원가입을 완료해야 합니다. 시험 장소별로 원서접수 기간이 다르기에 본인이 시험을 치룰 지역의 접수 기간도 체크하셔야 합니다. 이제 접수 일이 다가와서 미리 사이트에 로그인도 해놓고 서버이즘 시간도 창을 새로 띄워놓고 체크합니다.10시가 오픈이라서 9시 59분 59초에 원서접수 버튼을 클릭했더니 사이트 접속 대기 창이 뜹니다. 한 7분 정도 걸렸던거 같아요. 대기 시간을 모두 채웠는데 반응이 없습니다. 조급한 마음에 새로고침 했더니 완전 리셋되버렸습니다. 다시 원서..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수업혁신 2025. 1. 15. 더보기 ›› UI 디자이너 필수 툴 비교 : 피그마, Adobe XD, 스케치, 프로토파이, 프레이머 UI 디자인은 날로 발전하는 기술과 트렌드에 발맞춰 다양한 툴과 솔루션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각각의 툴은 고유한 장점과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디자이너의 작업 스타일이나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따라 적합한 툴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UI 디자이너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툴 5가지를 비교해보겠습니다: 피그마(Figma), Adobe XD, 스케치(Sketch), 프로토파이(ProtoPie), 프레이머(Framer) 1. 피그마 (Figma)https://www.figma.com/ko-kr/ Figma: 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도구Figma는 의미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최고의 협업 디자인 도구입니다. 하나의 플랫폼에서 원활하게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개발하며 피..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수업혁신 2024. 11. 6. 더보기 ›› 프로젝트 기반 학습 (PBL)의 핵심 특징과 단계별 진행 과정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 Based Learning, PBL)은 학생들이 실제적인 문제나 과제를 해결하면서 학습하는 교수-학습 방법입니다. 오늘은 PBL의 특징과 효과적인 운영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PBL의 핵심 특징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가장 큰 특징은 실제성(Authenticity)입니다. 학생들은 실생활과 연계된 문제를 다루면서 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직접 체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참여가 이루어지며, 협동학습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팀워크를 기를 수 있습니다.2. PBL의 단계별 진행 과정① 프로젝트 준비 단계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의 성공은 철저한 준비에서 시작됩니다. 준비 단계는 프로젝트의 방향을 설정하고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수업혁신 2024. 10. 31. 더보기 ›› [아이디어] 초등교육에서 학생주도성,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이란 무엇일까요? 학생주도성이란 학생이 자신의 학습 과정에서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책임감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하며, 자신의 학습을 이끌어가는 능력을 말합니다. OECD Education 2030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이 역량은 미래 사회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매우 중요한 핵심역량이 되었습니다.그렇다면 학교 현장에서 학생 주도성을 어떻게 키워줄 수 있을까?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9가지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합니다. 1. 자기 목표 설정 및 관리- 학습 다이어리 활용: 매일 10분씩 그 날의 학습 목표를 적고, 달성 여부를 스스로 체크합니다. 특히 '오늘의 배움'과 '내일의 도전'을 구분하여 작성하도록 하면 연속성 있는 학습 관리가 가능합니다.- 성..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수업혁신 2024. 10. 29. 더보기 ›› 교사를 위한 캔바 canva 활용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와 기능 교사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캔바 활용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점점 중요해지는 요즘,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계신가요? 바로 그 해답으로 많은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캔바(Canva)입니다. 캔바는 단순히 템플릿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온라인 디자인 도구를 넘어, 교실에서 학생들의 창의력과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직면하는 상황을 반영해, 캔바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1. 독서의 날 포스터 만들기: 학생들의 독서 흥미를 유도하기매년 9월과 10월, 독서의 달이 다가오면 교사들은 어떻게 학생들에게 독서의 중요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디지털 문해력 미래교육/수업혁신 2024. 8. 26. 더보기 ›› 728x90 반응형 이전 1 2 3 4 5 ··· 19 다음